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폐암학회


폐암의 진단

  • HOME
  • 폐암의 모든것
  • 폐암의 진단

면역조직화학검사와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

최근 면역학과 분자생물학의 눈부신 발전으로 인하여 폐암의 조직학적 타입에 따른 종양단백질을 검출하는 면역조직화학검사(IHC)와 종양관련 유전자 돌연변이 유무를 확인하는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가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학문적인 관심 때문이 아니라, 종양단백질이나 종양유전자의 변이가 있는 경우 특별한 맞춤형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유전자의 경우 동양인, 비흡연 여성의 선암종(adenocarcinoma)에서 흔히 변이가 일어납니다. 이 유전자변이가 관찰되는 폐암환자는, 이 유전자변이 부위에 결합하는 약물로 치료하였을 때 종양의 크기가 줄어들고 치료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습니다. 또한 ALK (anaplastic large cell lymphoma kinase)유전자 변이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발생하는 폐암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역시 표적치료제를 복용하였을 때 치료 반응이 매우 좋음이 알려졌습니다. EGFR, ALK유전자 변이는 주로 선암종에서 발견되며 비흡연자에서 흔히 발견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정확한 병리검사를 통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고 추가적인 면역조직화학검사나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를 시행하여 환자 개인별로 적절한 항암약물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면역조직화학검사

면역조직화학검사는 폐암 같은 암 조직 안에 특정 단백질이 있는지를 눈으로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이 검사는 마치 범인을 찾기 위해 지문이나 DNA를 분석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폐 조직을 슬라이드에 올려서, 특정 단백질을 찾아주는 항체를 붙이고, 이 항체가 달라붙으면 그 부분이 특정 색으로 염색되어 보이게 합니다. 폐암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종류에 따라 치료법이 다릅니다. 면역조직화학검사는 어떤 단백질이 있는지 확인해서 폐암의 종류(선암, 편평상피세포암 등)를 구분하거나, 면역항암제 치료가 가능한지 여부 등을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며, 검사에서 TTF-1 단백질이 검출되면 선암일 가능성이 높으며, p40이라는 단백질이 검출되면 편평세포암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PD-L1이라는 단백질이 많이 보이면 면역항암제가 효과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폐암에서 ALK, ROS1 변이의 1차 선별 검사에 사용됩니다. 검사 결과가 양성이면 추가로 FISH나 PCR 검사를 하기도 합니다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 방법은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 (Real-Time PCR, RT-PCR), 형광 제자리 부합법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FISH),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이 있습니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 검사는 암 조직에서 DNA를 추출해, 특정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증폭하여 확인합니다. 마치 특정 문장만 골라 복사해내는 것과 비슷합니다. 폐암에서 흔히 문제가 되는 특정 유전자(예: EGFR, KRAS, ALK 등)에 돌연변이가 있는지 신속하게 확인하는 검사이며 검사가 정확하고 시간이 짧고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폐암 환자의 치료제 선택에 매우 중요합니다. 형광 제자리 부합법은 세포 안의 특정 유전자의 증폭과 유전자가 정상 위치에 있는지, 아니면 재배열(비정상적으로 붙어 있음)이 있는지를 형광물질을 붙여 현미경으로 직접 보는 검사입니다. 유전자가 비정상적으로 붙어 있으면 형광 신호가 달라집니다. 책 속의 특정 문장을 찾기 위해 형광펜으로 표시된 단어를 찾아보는 것과 비슷합니다. 폐암에서 ALK, ROS1 유전자 재배열(융합 변이)을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이 변이가 있으면 해당 표적치료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은 암 조직(또는 혈액)에서 DNA를 추출해, 암세포의 수십~수백 개 유전자를 한 번에 분석해, 어떤 돌연변이가 있는지 모두 찾아내는 검사입니다. 예전에는 책을 한 글자씩 읽었다면, 이 기술은 여러 권의 책을 동시에 스캔해서 모든 내용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폐암에서 EGFR, KRAS, ALK, ROS1, BRAF, MET, HER2, RET, NTRK 등 다양한 유전자 변이를 한 번에 검사해야 할 때 사용합니다. 검사시간은 다소 길고 비용이 높지만, 여러 표적치료제 후보를 동시에 확인할 필요가 있을 때 쓰이고 있습니다.

이처럼 폐암에서는 환자 개개인에게 맞는 맞춤 치료를 위해 면역조직화학검사와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가 필수적이며, 위의 네 가지 방법이 실제 임상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어떤 변이가 있는지에 따라 약제 선택이 달라지므로, 검사 결과를 정확히 아는 것이 치료의 첫걸음입니다.

TOP


  • [06367]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 280 13층 1322호 (수서동, 로즈데일 오피스텔)
  • TEL: 02-741-8540
  • FAX: 02-741-8539
  • E-mail: kalc@lungca.or.kr

Copyright (c) Korean Association for Lung Canc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