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폐암학회


폐암의 진단

  • HOME
  • 폐암의 모든것
  • 폐암의 진단

병리검사의 중요성과 종류조직 채취 후 병리과에서 거치는 과정

병리검사란?

폐암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몸에서 얻은 조직이나 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거나 유전자 검사를 시행하는 과정을 병리검사라고 합니다. 병리검사를 통해 폐암이 맞는지, 어떤 종류의 폐암인지, 어떤 약물이 효과가 있을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조직검사란?

조직검사는 암이 의심되는 부위에서 조직의 작은 조각을 떼어내어 정밀하게 분석하는 검사입니다. 종양이 위치한 곳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됩니다:

  • 기관지내시경 검사
    코나 입을 통해 가느다란 내시경을 기관지 속으로 넣어 종양을 직접 보며 조직을 떼어냅니다. 보통 종양이 폐 중심부에 있을 때 많이 사용합니다. 국소마취(부분 마취)로 시행되며, 비교적 간단한 검사입니다.
  • 경피적 침생검
    종양이 폐의 가장자리나 피부 가까이에 있을 때, 피부를 통해 가느다란 바늘을 찔러 조직을 채취하는 검사입니다. 쉽게 말하면, 몸 밖에서 바늘로 종양을 찔러 아주 작은 조직을 떼어내는 검사입니다. CT같은 영상장치로 위치를 확인하면서 시행합니다. 국소마취를 하고, 숨을 참는 등 자세한 협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조직검사, 이렇게 진행돼요

조직검사를 통해 얻은 조직은 병리과로 보내집니다. 병리과에서는 조직을 파라핀이라는 왁스 같은 물질에 넣어 단단하게 굳히면, 단단한 덩어리 형태로 파라핀 블록이 만들어집니다. 병리검사를 위한 조직은 파라핀 블록의 형태로 보관됩니다. 파라핀 블록을 얇게 잘라 유리 슬라이드 위에 붙인 것이 비염색슬라이드입니다. 비염색슬라이드는 이후에 H&E (hematoxylin-esosin; 헤마톡실린-에오신)염색, 면역조직화학검사, 유전자 검사에 사용됩니다. 세포가 잘 보이도록 비염색슬라이드에 색을 입혀 만든 것이 H&E 슬라이드입니다. 병리의사는 현미경으로 HE슬라이드를 관찰하여 암 유무와 종류를 진단합니다.

병리검체 접수 > 맨눈 검사 > 자동조직처리기 > 파라핀 포매 > 조직절편 제작 > 비염색 슬라이드 > 자동염색기 >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 슬라이드 > 현미경 판독

추가검사가 필요한 경우는?

H&E 슬라이드에서 암세포가 확인되면, 정확한 진단과 치료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면역조직화학 염색이나 유전자 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검사결과는 언제 알 수 있나요?

조직검사결과와 면역염색은 보통 일주일 정도 걸립니다. 중합효소연쇄반응과 형광제자리부합법 결과는 10일 정도 걸립니다. 외부로 검사를 의뢰 시 2주 이상 걸릴 수도 있습니다. 차세대염기서열검사는 2~4주 정도 걸립니다. 검체 상태나 검사실 상황에 따라 더 늦어질 수도 있습니다.

세포검사

세포검사는 세포가 떨어져 나와 섞여 있는 체액(예: 흉수)이나 가래를 채취하여, 그 안에 포함된 암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주요 세포검사의 종류>

  • 흉수: 폐암이 진행되면 폐와 가슴벽 사이에 공간(흉강)에 물이 찰 수 있습니다. 이것을 흉수라고 합니다. 가슴에 가느다란 바늘을 넣어 흉수를 채취합니다. 이는 폐암을 진단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흉수로 인한 호흡
  • 곤란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 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습니다.
  • 가래(객담): 아침 첫 가래를 3일 이상 연속으로 받아 검사합니다.
  • 기관지세척액: 기관지내시경 검사를 하면서 기관지를 세척한 물을 모아서 검사합니다.
  • 세침흡인세포검사: 폐종양 또는 폐 주변 림프절을 가는 바늘로 찔러서 흡인한 세포를 도말하여 검사합니다. 병변의 위치에 따라 밖에서 찌르기도 하고 기관지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면서 초음파로 병변을 확인하여 검사하기도 합니다.

액상생검

피를 뽑아, 혈액 속에 떠다니는 암세포의 DNA 조각(circulating tumor DNA; ctDNA)을 분석하는 검사입니다. 조직을 직접 떼어내지 않고도 암의 유전자 변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조직검사가 어렵거나, 치료 중 약물에 대한 내성이 의심되거나, 암이 재발했지만 조직검사를 다시 하기 어려울 때 유용한 검사입니다.

TOP


  • [06367]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 280 13층 1322호 (수서동, 로즈데일 오피스텔)
  • TEL: 02-741-8540
  • FAX: 02-741-8539
  • E-mail: kalc@lungca.or.kr

Copyright (c) Korean Association for Lung Cancer. All Rights Reserved